EVENT

24시간 혜택! 어떤 작품이든 33,000원 >

신규고객 체험 특가

한수희

Han. Su Hee

목원대학교 미술학 석사
목원대학교 회화 학사

39점의 작품
39점의 작품
개인전
2017 8회 Solo Exhibition (이공갤러리)
2015 7회 Solo Exhibition (고팡갤러리)
2014 6회 Solo Exhibition (이공갤러리)
5회 Solo Exhibition (안도르 갤러리)
2011 4회 Solo Exhibition (사랑선인장)
2010 3회 Solo Exhibition (이안갤러리)
2008 2회 Solo Exhibition (영아트 갤러리/오원화랑)
2001 1회 Solo Exhibition (현대갤러리)
단체전
2018 회화의발언 DTC갤러리 초대전 (DTC갤러리)
향토작가초대전 (청양문화예술회관)
목원 동행전 (목원대학교 미술관)
꼬씨꼬씨초대전 (파킹 갤러리)
2017 청양향토작가전 (청양구문화예술회관)
청양을 물들다 (청양문화원)
안견미술모색 <한국의 몽유도원도 되찾기> (KBS대전방송총국)
말도마요 (파킹갤러리)
대전 국제예술제 (무역전시관)
19금 (파킹갤러리)
화랑미술제 (COEX HALL)
대전국제아트쇼 (무역전시관)
2016 힐링 아트부스 개인전 (대전서구청 특별 전시실)
회화의 발언 (우연갤러리)
청양미협전 (청양문화원)
이코노텍스트전 (이공갤러리)
사유의 흔적 (예치과갤러리)
쁘띠쁘랭땅 (그림을 마시다 갤러리)
무의식적 기억 (이공갤러리)
대전의 기수전 (오원화랑)
Original ~JEAN (예술가의집)
5인의 전시 (고팡갤러리)
19금 (파킹갤러리)
2015 제일치과 전 (제일치과 갤러리)
어제보다 더 좋은 (예치과갤러리)
시장하시죠 (파킹갤러리)
세종미협 정기전 (세종시정1층)
사랑의 지평-대전미술의 주역전 (선화기독교미술관)
쁘띠쁘랭땅 전 (대전 M갤러리)
말도마요 (문화공간 주차)
대전의 기수전 (오원화랑)
노은아트리브로 1주년개관기념전 (노은 아트리부로 갤러리)
Neo ~ Art Sumer (M갤러리)
40 50 예술을 읽다. (노은아트리브로)
19 금 (문화공간 주차)
17회~JEAN(Delightful) (예술가의 집)
13회 회화의 발언 (보다아트센터)
“동행” (대전MBC M갤러리)
대전국제아트쇼 (무역전시관)
KIAF (COEX HALL)
2014 회화의 발언 (이공갤러리)
화첩기행 전 (TJB방송국 1층 특설 갤러리)
현대미술 작가전 (갤러리 라메르)
초심(original intention) ~JEAN 15회 (이공갤러리)
이코노텍스트(욕망의 프레임) (이공 갤러리)
이 남자를 주목해라 (대전MBC M갤러리)
안견미술제 (KBS방송총국)
심사조화 (선화기독교미술관)
시각의 차이 전 (대전광역시 시청제1전시실)
생명전 (코리아센터, 일본 도교 주일문화원)
로컬 아트 (예치과 갤러리)
대전의 기수전 (오원화랑)
대전음식예술관광특구 축제전 (KBS갤러리)
노은아트리브로 개관기념전 (노은아트리브로)
네오아트슈머전 (대전 시청 전시실)
Holy Cross (포항 학생문화예술회관)
Free draw (올 갤러리)
Art & Craft (보다아트센터)
~JEAN (대전광역시 시청제2전시실)
대전국제아트쇼 (무역전시관)
2013 향토작가초대전 (청양문화회관)
한국미술특별전(신토불이) (선화기독교미술관)
한국 미술 30인 초대전 (선화기독교미술관)
이코노텍스트전 (우연갤러리)
안견미술 모색전 (KBS대전총국)
아트홀릭 기획 / 대전MBC 후원 “봄 마실” (MBC M갤러리)
세종 미협전 (세종시 문화예술회관)
봄 마실 (예치과 갤러리)
대전의 기수전 (오원화랑)
교수작품전 (모산미술관)
All Color ~JEAN (Art com#46)
39회 목원대학교 교수작품전 (덕린갤러리)
2013 청년 미술제 (대전MBC M갤러리)
15회 보문미술대전(최우수상) (중구문화원)
2012 회화의 발언전(제10회) (이공갤러리)
한수희 전 (예치과갤러리)
한국의 몽유도원도 되찾기 “안견미술 모색 2012” (KBS대전방송총국 전시실)
지금 내 옷장의 ~JEAN 전 (이공갤러리)
제6회 Iconotext Exhibition (덕린갤러리)
아름다운 동행전 (천안 시민문화예술회관)
사색의 발언 전 (제일치과 갤러리)
사랑 나눔전 (이공갤러리)
Turn Over (선화기독교 미술관)
2012 대전의 기수 전 (오원화랑)
“마실”프로젝트 (아트홀릭)
2011 회화의 발언전 (덕린갤러리)
출향작가 초대전 (청양문화회관)
청년작가전 (하늘마당 갤러리)
제2회 “그림이 좋다” (유성갤러리)
정예작가초대전 (우연갤러리)
정예작가40인 초대전 (영아트 갤러리)
안견 창작 스튜디오전 (안견 창작 스튜디오)
안견 미술 모색전 (한마음아트존 갤러리)
새싹 하나 전 (우연갤러리)
나눔과 상생 (붐 갤러리)
“시각의 차이” (MBC M갤러리)
~JEAN “FREE” (덕린갤러리)
1 한중 교류10주년 기념초대전 (서안미술관)
Y.A.F (인사아트갤러리)
2010 회화의 발언전 (동덕 갤러리, 우연갤러리)
청양향토작가초대전 (청양문화회관)
중구작가 초대 “봄비에 젖다” (중구문화원)
이코노텍스트전 (홍인갤러리)
아트존 신진작가특별전 “붓질에 매혹에 빠지다.” (아트존갤러리)
대전의 기수전 (오원화랑)
Freedom - (아트센터 알트갤러리)
“ㅇ” 유쾌한 여정 (MBC M갤러리)
“시각의 차이”전 (롯데화랑, M갤러리)
“DOT” 4 인의 기획전 (쌍리갤러리)
대전 Art Fair (대전갤러리)
“아트대구” Art Fair (엑스코 무역전시장)
2009 충청작가 연합전 (청원미술관)
충남국제 아트쇼 (청양 문화회관)
청양향토작가초대전 (청양문화회관)
청양문화예술회관 개관기념전 (문화예술회관)
이코노텍스전 (갤러리아백화점)
깃발전 (청양 문화회관)
Painter Painting 전 (이공갤러리)
B & S Showroom 전 (갤러리 각)
“꽃” 그림전 (청양 문화회관)
"LIFE"전 (이공갤러리)
01 Asian Art Top Show (CHINA WORLD TRADE CENTER)
2008 회화의 발언전 (우연갤러리)
한집 한 그림 걸기전 (영아트갤러리)
파렌하이트 초대전 (파렌하이트갤러리)
충청작가전 (청원미술관)
청양미술협회展 (문화회관)
옛이야기 전 (예당호 조각공원)
롯데화랑 기획 “그룹연합 소품전” (롯데 화랑)
대전중앙시장 미술프로젝트“시장미술제” (중앙시장 일원)
금강사랑 풀어 보기전 (S-DOT갤러리)
The Jump “도역하는 미술” (모아아트갤러리)
S-DOT갤러리기획 되돌아보기 전 (S-DOT갤러리)
H2O 청년미술제 (갤러리 대미)
ARTIST전(JEAN) (쌍리갤러리)
“지적설계미술”전 (대전갤러리)
“대전미술”(그림으로 말하다) (시립미술관)
2007 회화의 발언전 (우연갤러리)
10공주 국제 미술제 GONGJO INTERNATIONAL ART FESTIVAL (임립미술관)
중구작가 초대전 - 신예작가 삶의 부활 (갤러리 오픈스페이스)
오원화랑기획 “대전의 기수전”초대 (오원화랑)
에스닷 기획 “10인의 삶-지속되는 매혹의 붓질” (에스닷 갤러리)
갤러리 모아아트 개관기념 초대전 (갤러리 모아아트)
2007 CMB Art-festival(나눔365) CMB개관1주년 기념 (엑스포 아트홀)
“각각의 새로움” ~JEAN (이공갤러리)
2006 강릉단오제기념 전국작가선면전 (제비리미술관)
2004-2007 회화의 발언 (오원화랑))
2004 쇼핑! 소품 페스티벌 (롯데화랑)
“한국미술” 내일의 주역 (현대갤러리)
2003 Painting and Painting (인사갤러리)
30년의 동행 (갤러리 현대)
“회화 15인의 발언” (오원화랑)
롯데화랑기획 '자화상' (롯데갤러리)
2002 表出展 (대덕롯데갤러리)
자유. 희망. 일탈 (갤러리 현대)
신예작가 (갤러리 현대)
소사벌 미술대전 우수상 (문예회관)
새 천년의 한국성 “인식과 소통” (연정문화 회관)
새 시대의 청년 작가 “청년예술... 그리고 내일” (오원화랑)
1.5 공감 (타임월드갤러리)
“송은미술 대전” (공평아트센터)
2001 신진작가의 발언 (시립미술관)
남부현대미술 (시립미술관)
COOL STARTING (우연갤러리)
2000 한-울타리 (대덕롯데갤러리)
대한민국 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대한민국 “청년비엔날레” (대구문예회관)
1999-2007 ~JEAN Exhibition (현대화랑)
1998 목원판화전 (MBC문화홀 갤러리)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미술은행), 대전방송국(TJB), 예담산부인과, 플러스흉부외과, SK이노베이션
수상/선정
2009 우수미술지도자수상 (신한화구 대표 이사 상)
2007 우수미술지도자수상 (신한화구 대표 이사 상)
미술지도교사상(목원대학교 총장상)
미술지도교사상 (대전광역시교육감상)
2006 우수미술지도자수상 (신한화구 대표 이사 상)
2002~2005 삼성 비추미 미술대전 심사위원
강의경력
2018 롯데쇼핑 문화센터 특강 15회 이상(대전,전주지점)
목원대학교 미술대학 출강
2016 충남 논산 평생교육 학습관 인문학 특강 4회
논산 논산여고 특강
2015 대전 중리중학교 특강
대전 정림중학교 특강
대전 유성여고 특강
대전 둔산 여자 고등학교 특강
대전 YWCA 연속특강
대전 UST대학교 대학원 교직원 연수특강
2014-2015 LH토지개발공사 직무 연수교육특강
2014 대전 동광 초등학교 교사 연수교육 특강
2013-2017 목원대학교 겸임교수 재직
2013-2014 대전 반석 고등학교 교육기부 명예교사
2012-2013 SK 이노베이션 기업특강
2011-2013 YWCA 문화예술 강의
기타
현재 목원대학교 미술대학 겸임교수, 회화의 발언 미술단체 회장, 아트홀릭 대표, 안견미술제 회원, 이코노텍스트미술협회원, 한국미술협회 회원, TJB화첩기행(다큐) 출연, TJB화통(강연프로그램) 예술가 페널 출연

작가의 말

삶에서 기인된 여러 기억들과 경험의 기억 중 감정의 상태에 집중한다. 이 감정 속에 무의식은 나에게 중요한 창작의 촉발이 된다. 점, 선, 면, 색의 가장 기본적 회화 코드를 가지고 보이는 것 너머의 감정을 체험하도록 한다. 이는 생경한 자극으로도 과거의 아련한 추억으로도 감정의 촉발을 만들어 낸다. 예술의 영감(靈感) 즉 신령의 느끼는 태도로 색(色), 상(像)을 찾아 감정의 촉발된 감정의 체험을 경험하고 느끼는 작업이다. 작품을 통해 아련함, 긍휼, 사랑, 아픔, 기쁨의 체험하기를 바래본다.

Q.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작업을 진행 할 때 조용한 섬에 머무는 낯선 시 공간이, 기묘한 감정을 표현에 매력을 느껴!

Q.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보이는 것 너머의 촉발된 감정(경험에 의한 전달보다는 경험 자체의 의미를 둔다.)

Q. 주로 사용하시는 표현 방법과 스타일은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점묘를 기본으로 구성하며, 가장 기본적인 태도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Q. 가장 애착이 가거나 특별한 작품이 있으신가요?
특별한 작품은 없고, 작품 제목이 작업이 제작된 수량의 넘버로 그 순간순간의 모든 것이 의미가 된다.

Q. 주로 어디에서 영감을 얻으시나요?
경험에서 영감을 얻는데, 여행을 통한 자연도 되고, 그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감정을 잡는다.

Q. 앞으로 작업 방향은 어떻게 되시나요?
작곡가 에릭 사티(Erik, Satie) 곡 처럼, 간소한 표현에 감정을 소통하는 작업방향

Q. 대중들에게 어떻게 기억되길 바라시나요?
복잡하고, 기계화되는 현실에 감정을 다루는 다정한 손길의 예술가가 되기를 소망

Q. 작품 활동 외에 취미 활동이 있으신가요?
여행을 좋아한다. (지역 대전 SBS 민방 ‘화첩기행’이란 다큐 프로그램에 9년간출연중)

Q. 작품 활동 외 개인적인 목표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의미 있는 작업을 찾아 내는 것, 이 외는 큰 목표는 없다. 중단 없이 가는 예술가가 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