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T]

24시간 혜택! 어떤 작품이든 33,000원 >

신규고객 체험 특가

올해의 작가상 2025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I   서울
‹올해의 작가상›은 국립현대미술관과 SBS문화재단이 2012년부터 공동으로 주최해 온 대표적인 현대미술 작가 후원 프로그램이자 수상 제도로, 매년 작가 4인(팀)을 선정하여 신작 제작과 전시를 지원해 왔다. 2023년 10주년을 맞아 작가의 작품 세계를 (비)선형적이자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신작에 더해 기존의 주요 작품을 함께 선보이는 변화를 꾀하였다.

«올해의 작가상 2025» 선정 작가는 김영은, 임영주, 김지평, 언메이크랩이다. 김영은은 소리와 청취를 정치적이고 역사적인 산물 및 실천으로 바라본 작업을 선보인다. 소리와 청취가 특정 역사적 맥락 안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기술적으로 발전되는지, 그리고 청취가 지식 생산과 탈식민화 과정에서 어떤 가능성을 제공하는지를 탐구한다. 한국 사회에서 미신과 신념, 종교적 믿음이 형성·수용되는 과정을 관찰해 온 임영주는 이러한 ‘불확실한 믿음’을 과학기술의 발전과 견주어 보며 현실 너머를 상상하고 나아가 죽음, 종말, 외계에 대한 실존적 차원의 이야기를 새롭게 구성한다. 김지평은 ‘동양화’의 개념과 기법에 들어 있는 전통적 세계관과 보는 방식을 비평적으로 해석해 왔다. 작가는 공인된 전통이 이미 근대성의 일부가 되었다고 보고 그간 전통이 스스로 배제해 온 재야의 미술, 야생의 사고, 신화의 상상력을 다시 길어 올리려 한다. 언메이크랩은 최빛나와 송수연이 구성한 콜렉티브로, 한국의 발전주의 역사와 인공지능의 요소(데이터셋, 컴퓨터 비전, 생성 신경망 기술)를 교차시키며, 현재의 사회적·생태적 상황을 사변적 풍경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네 작가는 각기 다른 매체와 주제를 경유하며 감각되지 않는 것—감춰지거나 누락되고, 소외되거나 잊혀진 세계의 층위들—을 추적한다. 이들은 “비가시적인 세계는 어떻게 드러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따라 재현의 역학을 파헤치고,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 자체에 의문을 던진다. «올해의 작가상 2025»는 청취와 정치, 전통과 동양화, 미신과 과학,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오가며 작가들이 열어젖힌 틈새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감각과 서사를 살펴보고자 한다. ‘경계에서 비가시적인 것을 찾되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는 자’로서 한데 모인 네 작가의 세계는 서로가 만들어 내는 경계선을 밟고, 지나가고, 머무는 방식을 체화하는 가운데 풍성해질 것이다.

전시 정보

작가 임영주, 김영은, 김지평, 언메이크랩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지하1층 3,4,5 전시실
기간 2025-08-29 ~ 2026-02-01
시간 10:00 ~ 18:00
월, 화, 목, 금, 일 10:00 - 18:00
수, 토 10:00 - 21:00
*휴관일: 추석
관람료 2,000원
주최 국립현대미술관 / SBS문화재단
주관 국립현대미술관 / SBS 문화재단
후원 국립현대미술관 / SBS 문화재
출처 사이트 바로가기
문의 02-3701-9500
(전시 정보 문의는 해당 연락처로 전화해주세요.)
그림구독 처음이라면, 월 33,000원

국내 인기 작가의 원화를 우리 집에서 즐겨 보세요.

지금 바로 만나 보기 →

위치 정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I  02-3701-9500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온라인 특별 전시관

전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