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 현대미술 학사
유화를 얇게 문질러 덧칠하는 과정을 통해 색을 찾습니다. 이렇게 찾은 색과 공간의 표현을 통해 경험의 흔적을 그립니다.
Q.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당연히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달려와서 계기는 잘 모르겠습니다. 막연히 그림이 좋아서 예고를 가고 미대를 갔다기보다 작가활동(화가)을 하겠다는 목적을 가지고 진학했습니다. 단순히 좋으면 취미로도 가능할 수 있지만 그런 것이 아니었습니다.
Q.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주제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분명한 표현의지가 있습니다. 반드시 그것을 표현하지 않으면 안될 것 같은 충동으로 작업을 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의 인상을 표현합니다. 그 경험은 오로지 저 만의 것이며 주로 집에서의 경험에서 비롯됩니다. 꼭 집 내부구조나 상황을 그려야겠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것을 묘사하지 않습니다. 경험의 남긴 흔적(impression)을 표현합니다.
Q. 주로 사용하시는 표현 방법과 스타일은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주로 유화를 사용합니다. 캔버스에 작업할 때도 있고 판넬에 천을 씌어 사용할 때도 있습니다. 유화를 사용하는 이유는 유연하면서 밀도 있는 중첩이 가능하며 오래 보존이 되기 때문입니다. 경험의 인상을 더듬어 색으로 예민하게 표현합니다. 한번에 색을 만들어 올리지 않고 기름의 농도를 다르게 해서 여러 번 얇게 겹쳐 올리거나 문지릅니다. 캔버스 틀에 할 때고 있고 판넬에 할 때고 있는데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강하게 터치를 넣고 싶을 때는 판넬 작업을 선호합니다.
Q. 가장 애착이 가거나 특별한 작품이 있으신가요?
모든 작품이 자식 같고 애착이 갑니다. 가끔 졸작도 나오지만 그 작품들을 통해서 더 나은 작업이 나오기 때문에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모든 작품에 애착이 가고 특별하지만 동시에 다 마음에 완벽하게 들지는 않습니다.
Q. 주로 어디에서 영감을 얻으시나요?
일상에서 사소하게 마주하는 모든 것에서 영감을 얻습니다. 예를 들어 길을 가는데 어디선가 본 듯한 갈래길이 나옵니다. 그 순간 과거의 경험이 저를 끌어당깁니다. 그 당김은 선명하지 않지만 존재감이 분명합니다. 혹은 누군가가 입고 있는 옷 색을 본 순간 그 색의 감성과 유사한 경험과 사건이 떠오릅니다. 그것은 굉장히 아픈 경험일 때도 있고 따뜻하고 슬플 때도 있습니다. 즉 저의 영감은 어디에서든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Q. 앞으로 작업 방향은 어떻게 되시나요?
하나하나의 작품들이 과정 중 하나이며 작업의 방향은 제가 당장 무엇을 할 것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자연의 흐름처럼 흘러가야지 어색하지 않은 작품이 나옵니다. 느리게 천천히 변할 것입니다.
Q. 대중들에게 어떻게 기억되길 바라시나요?
묵직한 산 같은 작가로 기억되고 싶습니다.
Q. 작품 활동 외에 취미 활동이 있으신가요?
운동을 전문적으로 하지는 않지만 꾸준하게 합니다. 지방이 많아지고 근육이 늘어지면 움직이기 싫어지고 동시에 뇌도 게을러 진다고 생각합니다. 건강한 육체에 건강한 정신이라는 생각으로 운동을 중요시합니다. 그 외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