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T

24시간 혜택! 어떤 작품이든 33,000원 >

신규고객 체험 특가

김단비

Kim, Dan Bi

조선대학교 회화 박사
조선대학교 회화 석사
조선대학교 회화 학사

11점의 작품
11점의 작품
개인전
2018 ‘별유천지’ (別有天地) 전 (갤러리 밈)
2017 ‘별유천지’ (別有天地) 두번째 이야기 (무각사 로터스갤러리)
‘별유천지’(別有天地) 전 (유스퀘어 문화관 금호갤러리)
단체전
2019 컨템포러리 영 아티스트 인 남도 展 (담양 담빛예술창고)
전남.광주 청년작가 교류 기획전 (담양 해동문화예술촌)
2018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공모 당선작가전 - ON 전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봄의 연가 展 (광주문화예술회관 갤러리)
바람이 분다 (씨떼데자르, 파리)
‘연꽃을 닮은 이상향 보길도’展 (광주신세계갤러리)
2017 Art Sale Festa 'Noma + Jean' (광주 롯데갤러리)
예맥회 (광주시립미술관분관)
남도의 풍경 (광주문화예술회관 갤러리)
『이달의 청년작가』 (함평군립미술관)
미술심리프로젝트 숨은그림찾기 전 (주안미술관)
‘타임슬립 time slip ’ (G&J 광주.전남 갤러리)
제 35회 청년작가정기회 (양림미술관)
선묵회 (조선대학교 백학미술관)
‘봄, 마중’ 전 (한평갤러리)
2016 현대한국화전 (ds갤러리)
라이징 그림장터전 (소촌아트팩토리)
조대미술 70년 전 (국립아시아 문화전당)
온새미로전 (도남갤러리)
“?”예술, 즐기는데 정답은 없다 (담양 담빛예술창고)
Asia young art festival (갤러리 D)
제 34회 청년작가정기회 (광주시립미술관 분관)
리버사이드호텔 부가티클럽 아트페어쇼 (부가티클럽)
2015 도서관 속 미술 산책 (장덕도서관 갤러리)
광주신세계백화점 '한일관' 초대전 (광주신세계백화점 한일관)
선묵회 (조선대학교 백학미술관)
한국화동질성전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장애인 비장애인 문화예술한마당 2015“다므기”전 (광주비엔날레전시관)
Asia young art festival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아시아의 문화의창 광주국제현대미술전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알 수 없는 것들 (조선대학교 백학미술관)
색의 악동들 전 (갤러리 아크)
<oh my lady> 변화하는 여성의 자화상 전 (조선대학교 백학미술관)
2014 예맥회 (ds 갤러리)
도서관 속 미술산책 (장덕도서관 갤러리)
원우회전 (ds 갤러리)
감성시대 Ⅱ (궁다방갤러리)
별무리전 (한평갤러리)
표상전 (조선대학교 백학미술관)
Asia young art festival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자화상전 (서신갤러리)
가깝가고도 먼 청년작가 (유스퀘어 문화관 금호갤러리)
2013 원우회전 (조선대학교 백학미술관)
v-party (D 갤러리)
예맥회 (DS 갤러리)
광주 한국화 위상전 (광주시립 미술관 금남로 분관)
메세나전 (수완지구 세계로병원 갤러리)
사랑합니다 (중국 상해문화원)
Asia young art festival (유스퀘어 문화관 금호갤러리)
레지던시
2019 의재창작스튜디오 레지던스프로그램 입주 작가 (의재미술관)
2018 광주시립미술관 청년예술인지원센터 입주 작가 (청년예술인지원센터)
기타
2019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벡스코)
Art gwangju (김대중컨벤션)
2017 싱카폴 어포더블아트페어 (F1 PIT building 1 republic boulevard singapore)
bazaar Art Jakarta (바자아트자카르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리츠칼튼호텔)
Art gwangju : 17 (김대중컨벤션)
2016 킨텍스 스푼 아트쇼 2016 (일산 킨텍스)
Art gwangju : 16 (국립아시아 문화전당)
경남아트페어 (창원컨벤션센터)
2015 Art gwangju :15 (김대중컨벤션센터)
2013 광주국제아트페어 (김대중컨벤션션센터)

작가의 말

안녕하세요, 김단비작가입니다.

Q.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중학교 예고입시를 준비할때부터 그림을 그려오면서 자연스럽게 지금까지온것같다.

Q.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누구나 한 번쯤은 꿈과 현실을 오가며 상상의 나래를 펼치고 각자의 이상향을 만들 듯, 나의 작업 또한 유년시절부터 시작된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과 공상에서 비롯되었다. 은하수로 반짝이는 밤하늘, 뭉게구름, 잔잔한 물결, 시원한 폭포수 등은 유토피아를 상징하는 소재들이다. 마음속에서나 존재했던 풍경들은 나의 상상과 연상에 의해 시공을 초월하는 내면적 심상으로 그려지며, 마음을 통해 비쳐지는 자연을 화면에 옮겨 놓음으로써 별유천지(別有天地)를 펼쳐내었다.

Q. 주로 사용하시는 표현 방법과 스타일은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마블링 기법을 이용하여 다채로운 색채 속에서 나타나는 우연적 형상을 통해 자연의 역동적인 생명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마블링의 자유로운 형태와 뒤엉켜있는 색채는 풍성한 꽃나무가 될 수도 있고, 밤하늘에 쏟아지는 별똥별일 수도 있다. 자연의 순수한 생명력과 신비로움을 작품에 투영시켜 모든 생명체가 자유롭고 평화롭게 공존할 수있는 별세계를 표현하였다. 첩첩이 중첩된 산세(山勢)와 부드럽게 이어지는 능선은 관념산수(觀念山水)를 바탕으로 두고 있으며 이러한 묘사를 통해 현대판 산수화를 보여주고자 한다.

Q. 가장 애착이 가거나 특별한 작품이 있으신가요?
모든 작품이 애착이 간다.

Q. 주로 어디에서 영감을 얻으시나요?
가상현실을 시각화한 영화, 우리의 옛그림이나
여행하면서 지나친 아름다운 자연풍경을 떠오르며 감성을 통해 영감을 얻곤한다.

Q. 대중들에게 어떻게 기억되길 바라시나요?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 작가가되고싶다.

Q. 작품 활동 외에 취미 활동이 있으신가요?
영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