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T

24시간 혜택! 어떤 작품이든 33,000원 >

신규고객 체험 특가

신지선

Shin, Ji Sun

성균관대학교 미술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미술학 학사

5점의 작품
5점의 작품
개인전
2019 눈의 소리 (서울시립미술관 세마창고)
2015 ‘어떤 시간, 어떤 장소’ (Space 333, 금천예술공장, 서울)
2013 ‘수집된 이야기의 풍경: 상도동’ (Space Mass, Hal 할 Project, 서울)
2009 ‘원서동’ (인사미술공간, 서울)
2008 ‘Project apt-tour in S.J.P.J’ (Bureau Touristique, 퀘백, 캐나다)
2006 ‘아파트 관광’ (브레인 팩토리, 서울)
단체전
2022 기록하는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세마벙커)
2021 땅과비 (암사동 선사유적박물관)
샤바 샤바 아이샤바 (포항문화재단 대안공간 298)
2020 시간동사모음 (성북구립미술관, 온라인)
인미공 0020 (인사미술공간, 서울)
난지 액세스 (난지창작미술스튜디오 갤러리)
OSS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입주자보고전시)
2019 유니온 아트페어 (S 팩토리, 서울)
2018 Fresh Art Fair (성균갤러리, 서울)
Let's make together 유니온 아트페어 (S 팩토리, 서울)
두개의 강은 함께 흐른다 (쌈지논밭예술학교, 파주)
안티젠트리피케이션-일상생활비판 (대안공간 이포, 서울)
2017 유니온 아트 플러스 (인사1길, 서울)
조그만 더 가까이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Unification: Art, Tea, Music (복합문화공간 Baesan ware house, 서울)
2016 ‘장소와 각주’ (금천예술공장 오픈스튜디오, 서울)
‘O'newwall Hanging together’ (스페이스 오뉴월, 서울)
‘획’ (이정아 갤러리, 서울)
in case of fire, proceed to nearest exit elevator xx stairs ok (Space XX, 서울)
2015 미.인.도 프로젝트 (미아리 고개, 스페이스 오뉴월, 성북문화재단, 도시문화연구소, 서울)
경계조건 (성균갤러리, 서울)
Real DMZ Project (철원 동송읍, 철원 / 아트선재센터, 서울)
Paint over: love, travel, business (더윈 아트하우스, 서울)
2014 창작의 내;일 (시민청, 서울)
보이지 않는 도시 (문래창작촌 아워몬스터, 서울)
Let’s hang whatever you can carry (스페이스 오뉴월, 서울)
아파트 인생 (서울역사박물관, 서울)
오산 작업장 (오산시립미술관, 오산)
2013 할 Hal Project ‘collective Diary’ (스페이스 매스, 서울)
아트인 컬처 ‘동방의 요괴들’ (스페이스 K, 광주)
2012 Cottonseed: 2주년 기념전 (복합문화공간 솜씨, 서울)
Memorial Drawing Wall (보충대리공간 스톤 & 워터)
‘이태원에 부군당이 있습니까?’ (대안공간 꿀풀, 서울)
2011 ‘지도를 말을 한다’ (아트라운지 디방, 서울)
‘Walking in the city’ (롯데 에비뉴엘, 서울)
‘신지선의 스케치 프로젝트 1/2’ (cake gallery, 서울)
‘why is that’ (cake gallery, 서울)
‘Fairy Tale’ (성남문화재단 책테마파크, 분당)
2010 ‘ArtShare’ (동덕아트 갤러리, 서울)
‘시장미술의 탄생’ (Solomon Residency Program& Gallery, 서울)
‘Faction’ (까페솜씨, 서울)
‘#1’ (Bu2 Lounge Bar, 서울)
‘Asia Top Gallery Hotel Art Fair Seoul’ (신라호텔, 서울)
‘GreenLoveBrown’ (Green & Brown Pictures, 서울)
‘사랑의 시작’ (류화랑, 서울)
‘Urban : Utopia’ (갤러리 큐리오 묵, 서울)
‘The more, the better’ (선화랑, 서울)
2009 ‘ArtRoad 77’ (아트팩토리, 헤이리)
‘Aurora’ (sam 갤러리, 부산)
‘Saint-Jean-Port-Joli insolite’ (Le Musee de la memoire, 퀘백, 캐나다)
2008 ‘Landscape Architecture’ (art space plastic, 인천)
‘Pour Faire Joli’ Elvire Bonduelle,Ji-sunShin 2인전 (갤러리 La vitrine, 퀘백, 캐나다)
‘ID GIG factory's Holiday’ (art space plastic, 인천)
‘서울 디자인 올림픽’ (잠실 주경기장, 서울)
‘여섯번째 여름’ (스톤앤워터, 안양)
‘Brain Factory fundraising’ (토탈 미술관, 서울)
2007 ‘스트레스 파이터’ (대안공간 풀, 서울)
‘반갑습니다’ (art house 갤러리, 런던, 영국)
‘아트마트’ (갤러리 쌈지길, 서울)
2006 ‘Artholic’ 옥션 (듀플렉스 갤러리, 서울)
‘예술의 밝은 미래’ (듀플렉스 갤러리, 서울)
‘원서동 프로젝트1’ 원서동 구적지도 만들기 (인사미술공간, 서울)
‘광주비엔날레’ 열린 아트마켓 3section (광주시립민속박물관내 기획 전시실, 광주)
‘아트마트’ (갤러리 쌈지길, 서울)
2005 ‘세운상가 프로젝트’ (세운상가내, 서울)
‘인미공열’전 (인사미술공간, 서울)
‘패스티쉬와 15인의도둑’ (모란갤러리, 서울)
‘Home, Sweet Home’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서울청년미술제 -포트폴리오2005’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생활의 저편’ (김진혜 갤러리, 서울)
2004 ‘프레파라트 어머니 지구’ (skape 갤러리, 서울)
‘즐거운 신뢰’ (barn 갤러리, 서울)
‘미술 안으로 나가다’ (영은 미술관, 경기도 광주 / 이대미술관, 서울)
‘Image curtain’ (pici 갤러리, 서울)
2003 인천미디어 아트 비엔날레 ‘신체적 풍경’ (인천예총문화회관, 인천)
‘추억으로’ (세종문화 회관, 서울)
‘상상도서관’ (스톤앤워터, 안양)
‘Tipping point’ (관훈갤러리, 서울)
2002 ‘Border & Change’ (나카츠에Ymca, 후쿠오카, 일본)
작품소장
2021 서울시립미술관
2020 국립현대미술관 정부은행
2016 서울동부지방법원
수상/선정
2020 서울문화재단- 창작준비지원: Research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온라인 플랫폼 지원사업
2019 서울시립미술관 SeMA 신진미술인 전시지원 프로그램
2013 호주 노마딕 레지던시 프로그램 지원사업 (Document A 공동기획)
2009 문예진흥기금 - 인사미술공간 전시지원사업
2008 Est-Nord-Est Conseil des Arts et des lettres Quebec,Canada Council for Arts
문예진흥기금 - 수요자 맞춤형 지원사업 (3차)
인천문화재단 - 문화예술지원사업 시각예술분야 지원
2007 서울문화재단 - 시각예술
문예진흥기금 - 국제교류지원사업 시각예술분야
2006 문예진흥기금 - 신진예술가 뉴스타트 및 지속프로그램지원
레지던시
2020 난지창작스튜디오 14기, 서울 (서울시립미술관 분관)
2015 Space MASS 10주년 레지던시 프로그램 (서울)
2014 금천예술공장 6기 작가 (서울)
2013 Nomadic residency program (Papunya, Desart Art centre, Australia)
2011 Solomon Artist Residency Program (Seoul, Korea)
2008 Est-Nord-Est residency program (Quebec, Canada)
2002 Nakatue village Art Camp (Oita, Japan)
강의경력
2016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2011-2013, 2016 성균관대학교 미술학과 강사
기타
2022 "도킹서울" 서울은 미술관 공공미술 , 서울시 디자인 정책본부, 공동기획
2021 "노들, 바람보다" 서울은 미술관 공공미술 축제, 서울시 디자인 정책본부, 공동기획 (노들섬)
2015 미.인.도, 미아리고가 재생사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aint over: love, travel, business 더윈 아트하우스 총괄기획 및 아트디렉터
2014 ‘Report in Seoul’ 호주노마딕 국제교류 프로그램 (필룩스, 아르코미술관)
‘Report in Seoul’ 호주노마딕 국제교류 워크샵, 공동기획
2013 동방의 요괴들 튜터 선정작가 39인 프로그램
호주 노마딕 레지던시 프로그램 지원 사업, 공동기획
2006-2007 ‘원서동 프로젝트’ (인사미술공간)
2006 국제작가포럼 2006 <프로젝트1:공공의 기대, 공공의 잠재력:정의> (대안공간 풀)
2005 ‘작가 성장 업그레이드 프로그램’ (인사미술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