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T

24시간 혜택! 어떤 작품이든 33,000원 >

신규고객 체험 특가

김윤경

Kim Younkyung

홍익대학교 미술학 (회화) 박사
홍익대학교 회화 석사

34점의 작품
34점의 작품
개인전
2022 초대개인전 '특별한 오늘' ( Gallery AILE, 서울)
초대개인전 '특별한 하루 : 일상의 빛' (Gallery NY, 서울)
2020 개인전(신진작가공모 선정작가) '하루의 의미' (Fill Gallery, 서울)
2019 초대개인전 '오늘의 빛(Eternal Sunshine)' (공간더인갤러리, 서울)
2017 개인전(박사학위청구전) '여행자의 시간'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2016 초대개인전 '우아하지 않은 세계' (PiaLux Gallery, 서울)
2015 개인전 '여행자의 일기' (The Gallery, 서울)
2012 개인부스전(석사학위청구전) 'Self-Communion(자아성찰)'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단체전
2022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 SEOUL' (COEX, 서울)
조형아트서울 '호텔아트쇼'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
대구국제아트페어 'Diaf' (EXCO, 대구)
서울모던아트쇼 (성수 S 팩토리, 서울)
마리끌레르 아트어페어 'One Summer Night!' (신사하우스, 서울)
기획초대전 '2022 FOCUS' (Fill Gallery, 서울)
기획초대전 'Find your piece 2022' (써포먼트갤러리, 서울)
단체전 (착한갤러리, 부산/서울)
프리미엄 온라인 경매 & 프리뷰전시 (케이옥션, 서울)
컨셉아트페어 '2nd 해피바라기x성수고요수목원' ( COLLAST, 서울)
2021 기획초대전 '바깥의 시간' (호반아트리움 아트살롱갤러리, 광명)
기획초대전 '색의 계절 ; 色季' (COLLAST, 서울)
기획초대전 '엘르소품기획전' ( Gallery NY, 서울)
아트페어 '조형아트서울(PLAS 2021)' (COEX, 서울)
컨셉아트페어 '해피바라기' (COLLAST, 서울)
2020 프리미엄 온라인 경매 & 프리뷰전시 (케이옥션, 서울)
기획단체전(신진작가공모 선정작가) 'Refresh Angle' (갤러리엘르, 서울)
아트페어 '아시아프(ASYAAF & Hidden Artists Festival)'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아트페어 '2nd 한뼘그림 아트페어' (디아트플랜트 요갤러리, 서울)
2019 아트페어 '아시아프(ASYAAF & Hidden Artists Festival)' (DDP/디자인둘레길, 서울)
2018 기획단체전 'Review - YOLO PLUS : Beyond happiness' (대전중구문화원, 대전)
아트페어 '아시아프(ASYAAF & Hidden Artists Festival)' (DDP/디자인둘레길, 서울)
아트페어 'COSO ART FAIR 소:작 2018' (COSO, 서울)
개관초대전 '느리게, 생각하기(SLOW THINGKING)' (쉬갈다방, 공주)
2017 초대 2인전 'The Light' (Gallery ONUE, 서울)
기획초대전 '공감의 온도, 마음을 나누다'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갤러리 SPACE U, 성남)
2016 기획단체전 '공진화(COEVOLUTION)' (최정아 갤러리, 서울)
기획단체전 및 나눔경매 '예술로 꿈을 이야기하다' (서울디지털대학교 선촌예술원, 서울)
2015 기획단체전 'Review - Uncanny 나, 조건, 넘기' (KBS 대전방송국 전시실, 대전)
2014 기획단체전 'Review - 기억을 두드린 메시지' (KBS 대전방송국 전시실, 대전)
기획단체전 '힐조(Studio Healjo Group Exhibition)' (홍대 스케치북, 서울)
기획단체전 'Grin(소리없이 활짝)' (T-world cafe, 원주)
2012 기획초대전 'NEW YORK ART SHOW 2012 for Young Artists' (Shinhan Gallery, 미국 뉴욕)
기획단체전 'Being : 네 개의 눈' (갤러리웅, 서울)
기획단체전 'Orvita : orbit of art' (팔레드서울, 서울)
아트페어 'ASYAAF' (구서울역사, 서울)
2011 기획단체전 'GPS'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아트페어 'ASYAAF'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기획단체전 '일육감성展(16 sensibility)' (갤러리골목, 서울)
2010 기획단체전 'Review' (현대갤러리, 대전)
아트페어 'ASYAAF' (성신여자대학교, 서울)
2009 기획단체전 '제 3회 청년의 미래를 보다!' (드림갤러리, 서울)
기획단체전 '3/4' (삼성갤러리/대전, 갤러리현/서울)
2008 대전미술축제 '청년미술제(Young Artists Art Fastival)' (대전미술협회갤러리, 대전)
기획단체전 'DREAM : support young artists exhibition' (삼성테스코 홈플러스 갤러리 잠실점, 서울)
기획단체전 '풀이展' (이공갤러리, 대전)
2007 수상작가전 '형상미술대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작품소장
2022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작품 소장
2021 호반그룹 태성문화재단 작품 매입 (아트살롱갤러리)
2016 강서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공부방 작품 기증(미술품 경매 수익금 기부)
수록/협찬
2021 에세이 '죽음이 삶에 스며들 때' 커버 이미지 수록 (위즈덤하우스)
2020 채널A 금토드라마 '거짓말의 거짓말' 작품 협찬 (오픈갤러리)
2016 에세이 '집,사람-두 아이가 크는 작은 집 이야기' 작품 이미지 수록 (문화다방)
기타
2020 작가등록 및 작품 에디션 제작 (Art Shop & Agency L'Diff)

작가의 말

안녕하세요. 저는 빛을 지침으로 삶과 정체성에 대한 성찰을 회화 작업을 통한 표현으로 지속해 나가고 있는 화가 김윤경 입니다.

Q.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저는 삶과 정체성에 대한 의미와 책임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사색해 왔습니다. 일상은 늘 직면하는 것이지만 '왜', '어떻게'에 대한 물음이 그 가치를 상실하였을 때에는, 곧 회의감과 무기력함을 경험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탐구하고 훈련하는 과정들은 그 자체로 주체가 되어갔고 나아가 원동력과 에너지가 되어주었습니다.
'화가'라는 직업은 스스로를 성찰하고 이를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으로, 모두와 소통할 수 있는 가장 실천적이고 확신 있는 선택이었습니다. 예술은 제게 감사한 삶의 여정인 것입니다.

Q.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미술 대학을 졸업하며 열었던 첫 개인 부스 전에서 열심히 작업하여 전시된 작품들이 나와 어울리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모범생처럼 꼼꼼하게 그려진 결과물과 작가로서 스스로 이름을 내건 작품은 굉장히 다른 의미였습니다. 이윽고 막연하게 화가의 길을 가고자 했던 생각은, 보다 진솔하게 자아를 찾고자 하는 여정으로 바뀌었습니다.
초기 작업들은 명암의 실루엣과 상징을 담아 표현했습니다. 또한 현재의 작업들은 일상의 장면을 통해 공유 가능한 어느 시간과 감정 등을 전하고자 합니다. 곧 작품은 삶과 정체성에 대한 성찰의 과정을 누적한 기록이자 세상과의 매개가 되어줍니다.

Q. 주로 사용하시는 표현 방법과 스타일은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저는 주로 캔버스에 유채로 페인팅 작업을 진행합니다. 소재는 그 시기를 가장 적합하게 이야기해 주는 것으로 이를 화면에 차분하게 구성해 나가며 그 의미를 되짚어갑니다.
표현에 있어서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그림을 그려나가는 동안 장면 속 분위기를 진정성 있게 이입하고 전달하는 것에 있습니다. 전체적인 색감을 선정하거나 부드러운 터치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등 서로 상대적인 것들의 조화를 맞추며 마무리합니다.

Q. 가장 애착이 가거나 특별한 작품이 있으신가요?
part 1. 작품 중에서는 2011년도 <봄날>과 2014년에 완성된 <Eternal Sunshine> 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림은 작업할 당시의 상황과 심경이 그대로 드러납니다. 그러므로 시기마다 의식적으로 그려내는 자화상들이 있었는데, 이 두 그림들이 바로 작업적 고심의 정점과 그 끝에 선 작품들입니다.
part 2. 작품 중에서는 2016년도 '오늘의 집' 시리즈를 꼽을 수 있습니다. 이 그림들은 친언니인 김수경 작가의 에세이 수록을 위해 그려진 것으로, 저희 자매에게 특별한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더불어 이 작품들이 많은 사랑을 받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작업 흐름에 확신과 용기를 얻을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습니다.

Q. 주로 어디에서 영감을 얻으시나요?
part 1. 작업들에서는 동시대의 모든 주변 환경들 속에서 나를 대변하는 것들을 수집하였고, part 2. 에서는 작가의 '사진 일기'에서 이미지를 선별하고 있습니다. 평소 일상의 진솔함이 담긴 사진과 글을 부지런히 정리하는 편인데, 이곳에서 영감을 얻어 작업을 시작합니다.
이미지 속 시간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서 더욱 진정성 있는 작품으로 완성됩니다.

Q. 앞으로 작업 방향은 어떻게 되시나요?
초반의 작업들은 '자아성찰' 여정의 시작이자 깊은 탐구의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현재의 작업들은 '여행자의 일기, 오늘의 빛, 하루의 의미'로 삶의 질문들에 대한 공감으로 채워지고 있습니다.
이렇듯 작품의 의미는 이제 개인의 성찰을 넘어서 공유하고픈 위로와 평온의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완성도 높은 작업을 통해 삶의 가치를 나누고 싶습니다.

Q. 대중들에게 어떻게 기억되길 바라시나요?
좋은 작가로 좋은 작품을 그려내려면, 먼저 자신과 삶을 매력적이고 부지런히 대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노력하여, 보다 많은 분들에게 아름다운 삶에 대해 깊은 공감을 전하는 작가로 기억되고 싶습니다.

Q. 작품 활동 외에 취미 활동이 있으신가요?
평소 생각과 주변을 잘 정돈해 두어야 현명하고 긍정적인 실천으로 연결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 공간을 정리하거나 SNS와 다이어리 등에 계획과 방향을 성실하게 기록해 두면서 마음을 가볍게 합니다.
또한 산책과 여행을 매우 좋아하는데, 탁 트인 곳을 걷고 새로운 기분을 맞이하면서 다양한 영감을 얻고 있습니다.

Q. 작품 활동 외 개인적인 목표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삶의 소중한 것들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가지며 살고 싶습니다.

'에브리아트-디아트플랜트 요갤러리', 2020 제2회 '한뼘그림 아트페어' 성료
에브리아트(대표 조성운)는 6월 17일(수)부터 6월 23일(화)까지 서울 중구 명동성당 지하 현대미술 전문 디아트플랜트 요갤러리(관장 조성지)에서 ‘2020 제2회 한뼘그림 아트페어’를 개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 감염증(코로나19)여파에도 성료했다. 본 페어에는 4개 갤러리, 85명(공모 54명)의 작가가 참여하며, ‘한뼘’크기의 그림(1호, 12.8 x 18.2cm) 900여점이 출품되었다. 한뼘그림 아트페어는 고가의 부스비, 회원 갤러리와 화랑 등 위주의 운영 등의 이유로 아트페어 참여가 어려운 갤러리와 작가들이 자생력을 갖추는데 일조하기 위해 2019년 처음 시작되어 작가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있다. 2019년 제1회 한뼘그림 아트페어에서는 8개 갤러리, 62명의 작가가 힘을 모아 괄목할만한 성과를 만들어내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특별히, 올해는 공모제도를 도입하여, 선발된 54명의 작가들에게 작업을 대중에게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머니투데이
신한 갤러리, 미래작가 뉴욕전
미래작가 뉴욕 전시회가 오는 1월14일까지 맨하탄 32가에 위치한 신한은행 맨하탄 지점내 신한 갤러리(313 fifth Ave.)에서 열리고 있다. 서울대, 홍익대, 이화여대, 경기대 등 한국 4개 대학의 미술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미래의 한국작가 16인이 다양한 작품을 전시중이다. 미래작가 뉴욕전은 한국의 미술전공 학생들에게 현대 미술의 중심지인 뉴욕에서의 전시 기회를 무료로 제공하며 작가 발굴 및 미국 시장 진출 가능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참여 작가는 박신영·장규돈·민준홍·강이경·이진경·강수진·권구희·박선양·이준영·신원삼·김현호·김선·김윤경·남지은·신민·이세준씨 등이다.
한국일보
서울디지털대, 미술작품 기증
서울디지털대학교는 25일 기부금전달식을 갖고 강서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기부금 및 미술 작품을 기증했다. 이날, 기부금전달식에서 서울디지털대학교는 현금 6,635,000원과 김윤경 작가의 Eternal Sunshine, 손민광 작가의 좋은 날 등 미술 작품 4점을 기증했다.
국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