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T

24시간 혜택! 어떤 작품이든 33,000원 >

신규고객 체험 특가

김선영

Kim, Sun Young

서울대학교 미술학 박사
Academy of Art University (미국) Fine Art 석사
서울대학교 동양화 석사
서울대학교 동양화 학사

38점의 작품
38점의 작품
개인전
2018 개인전 (유나이티드 갤러리, 서울)
2017 개인전 (인사아트스페이스, 서울)
개인전 (KCC Gallery, 뉴저지)
2016 개인전 (가나인사아트센터, 서울)
2015 개인전 (더 클라스 청담 갤러리, 서울)
개인전 (정부청사 갤러리, 서울)
2014 개인전 (HE·Art Hall)
개인전 (한옥갤러리, 서울)
개인전 (갤러리 아띠, 서울)
2013 JH 갤러리 초대전 (JH 갤러리, 서울)
개인전 (Gallery Bennett, 미국 뉴저지)
2012 현기순홀 초대전 (현기순홀, 서울)
호암교수회관 초대전 (호암교수회관, 서울)
2011 라메르 갤러리 초대 (라메르 갤러리 , 서울)
2010 신한아트홀 아트컴퍼니 (신한아트홀 아트컴퍼니, 서울)
2009 Kcc 초대전 (Kcc 갤러리, 서울)
신한PB센터초대전 (신한PB센터, 서울)
2008 GS 타워 로비 갤러리 초대전 (GS 타워 로비 갤러리 , 서울)
개인전 (Gallery Oms, 미국 뉴저지)
개인전 (Riverside Gallery, 미국 뉴저지)
2007 토포하우스 초대전 (토포하우스, 서울)
GS 타워 로비 갤러리 초대전 (GS타워 로비 갤러리, 서울)
2006 개인전 (Art People Gallery, 미국 샌프란시스코)
스페이스 함 갤러리 초대전 (스페이스 함, 서울)
2005 개인전 (Live Warms Gallery, 미국 샌프란시스코)
개인전 (Thirsty Bear CO Building Gallery, 미국 샌프란시스코)
개인전 (79 New Montgomery Gallery, 미국 샌프란시스코)
1996 개인전 (단성갤러리, 서울)
단체전
2014 뉴욕아트페어 (Pier 94, 미국 뉴욕)
추사출판기념전 (아라갤러리, 서울)
한국화회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이원전 (앤 갤러리, 성남)
추사출판기념전 (아라갤러리, 서울)
한국최고 아티스트 30인전 (미국 뉴저지)
2013 남송국제아트쇼 (성남아트센터, 성남)
부산 국제 환경 예술제 (에코국제현대미술관, 부산)
예술 영원한 빛전 (예술의전당, 서울)
Spirit of Korean Painting전 (갤러리 이배, 부산)
이원전 (봄 갤러리, 서울)
한국화회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라이징스타전 (쇼셜 갤러리)
2012 라 플레르 (153갤러리,서울)
백화노방 (양평미술관, 서울)
이원전 (스페이스 599, 서울)
MOA 미술관 특별전 (MOA 미술관, 서울)
한국화회전 (갤러리 LVS, 서울)
2011 쥐뿔 스튜디오 (서울대학교 스튜디오, 서울)
슬로우 템포전 (JH갤러리,서울)
명절선물상품전 (COEX, 서울)
서동요전 (부남미술관, 서울)
2010 한국 현대미술제 (예술의전당, 서울)
콜렉션 앤 콜렉션전 (신한갤러리, 서울)
한국적 모티브로 보는 이미지전 (책사랑갤러리, 서울)
5016전 (서울대학교 문화관, 서울)
Art in Dialog전 (스페이스599, 서울)
열린공감전 (예술의전당, 서울)
사군자, 신사군자 (한전아트센터, 서울)
2009 여성이 본 한국미술전 (세종문화회관미술관,서울)
넬슨박사연구발표 및 난민구제자선전시 (한국방송광고공사문화회관, 서울)
한국화회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이원전 (모로갤러리, 서울)
서울부터 뉴욕까지전 (KCC 갤러리, 미국 뉴저지)
2008 한국의 붓질전 (세종문화회관, 서울)
광화문 아트 페어 북경전 (관음당문화대도미술관, 중국 북경)
사교사색전 (신한은행PB센터, 서울)
한국화회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현대 아시아 회화전, Alessandro's (The Ballroom, 오레곤)
김선영, 송근영, 조수예전 (GS 타워 로비 전시관, 서울)
2007 광화문 아트 페어 북경전 (북경 한국 문화원 미술관, 중국 북경)
강남대학교 교강사초대전 (강남대학교 미술관, 용인)
작은 그림전 (렉서스 갤러리, 대구)
2006 스페이스 함1주년 개관기념전 (스페이스 함 갤러리,서울)
서울대학교 60주년 기념전 (서울대학교 박물관,서울)
2005 The collage of Life (Atrium Gallery, San Francisco)
Abstract Painting Group Show (688 Sutter Street Gallery, San Francisco)
M3 Show (688 Sutter Street Gallery, San Francisco)
Harlem Night (688 Sutter Street Gallery, San Francisco)
2004 Spring Show (Sutter Gallery, San Francisco)
2002 The 12th Annual KAAW Members' Exhibition (Friends Gallery, Lakewood)
2001 The 11th KAAW Members' Exhibition (Odyssey, Maritime Discovery Center, Seattle)
Invitational Exhibition by Asian Pacific Art Museum (the American Art Company, Tacoma)
Northwest Folk Life Festival (Seattle Center Pavilion, Seattle)
2000 The 10th Annual KAAW Members' Exhibition (Bank of America Gallery, Seattle)
The Exhibition of Issaquah Gallery (Issaquah Gallery, USA)
1999 The 9th KAAW Members' Exhibition (American Art Company, Tacoma)
1997 계원예고강사전 (계원예고 전시실, 서울)
제 30회 예원학교 창립기념전 (운현궁 박물관, 서울)
그루터기전 IV (종로갤러리 등)
1996 그루터기전 III (종로갤러리 등)
1995 계원예고강사전 (계원예고 전시실, 서울)
그루터기전 II (종로갤러리 등)
1994 김선영, 조수예, 송금영전 III (단성, 연세 갤러리 등)
돋움전 (미도파 갤러리, 서울)
그루터기전 I (종로갤러리 등)
1993 김선영, 조수예, 송금영전 II (단성, 연세 갤러리 등)
International Ink Painting Exhibition (Yanghyup Hall, Tokyo, Japan)
연세 갤러리 개관 기념전 (연세 갤러리, 서울)
제 40회 서울예술고등학교 창립 기념전 (예술의전당, 서울)
서울에서 부산까지 전 (서울, 부산)
새로운 세대전 (홍갤러리)
터 갤러리 개관 기념전 (터 갤러리,경기)
1992 새로운 형상과 정신전 III (관훈미술관 등)
예술의 날들전 (단성갤러리, 서울)
27인의 젊은 작가전 (청년갤러리)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전 (문화예술 진흥원 미술관)
공간 - 새로운 눈뜸을 위한 전 (후인갤러리)
인간모색전 (삼정갤러리)
자연, 사람, 그리고 예술전 (소나무 갤러리 , 안성)
Paris Exhibition of Korean Youth Artists (Escalier Art Center, Paris)
1991 김선영, 조수예, 송금영전 I (단성, 연세 갤러리 등)
현대 한국화 20인전 (아트 뉴스 갤러리)
디딤-내딤전 (관훈미술관, 서울)
한미 수교기념전 (Calstroble Gallery, Vienna, Austria)
마디전 (백악 미술관)
새로운 형상과 정신전 II (관훈 미술관 등)
1990 새로운 형상과 정신전 I (관훈 미술관 등)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몽골 대사관, 차병원, 서울대학교, 과학기술대학교, 뉴저지 KCC센터, 라메르 갤러리, JH 갤러리, Lexus 서초지점, 토포하우스, 갤러리 아띠, 쇼셜갤러리 외 다수
수상/선정
1999 5인의 한미예술인 선정 (워싱턴주 미술협회)
1996 대한민국미술대전
1991 대한민국미술대전
MBC 미술대전
기타
2014 꼭 읽어야 할 한국미술교육40선 (미진사)
사군자 '난(蘭)'그림의 다양한 상징성 분석과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평담사상을 기초로 한 조선시대 화조화의 담채법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3 평담사상과 수묵담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박사학위 논문)
전통산수화 시각법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2 조선시대 문인화에 표현된 월색의 상징적 의미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조선시대 화조화의 담채법에 관한 고찰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태학사)
2010 전통회화 재료로서 견의 특성과 교육적 활용 (한국조형교육학회)
2009 전통회화교육을 위한 평담천진 사상의 고찰 (한국조형교육학회)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동양화과 조교수

작가의 말

현재 홍익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인 한국화가 김선영입니다.
어릴적부터 그림그리기를 좋아하다보니 화가까지 되었네요.

Q. 추구하시는 작품 스타일이 궁금합니다.
동양화 재료인 견(비단)에 동양채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Q.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자연의 정신'으로 자연을 보았을 때 느끼는 평화로움의 경지를 표현하고있습니다.

Q. 가장 애착이 가거나 특별한 작품이 있으신가요?
<투명한 명상>, <투명한 연> 시리즈 등이 있습니다.

Q. 주로 어디에서 영감을 얻으시나요?
자연에 관한 관찰과 여행 등입니다.

Q. 앞으로 작업 방향은 어떻게 되시나요?
동양화가 가지는 미학적 요소를 현대적이고 국제적인 방식으로 보여주고싶습니다.

Q. 대중들에게 어떻게 기억되길 바라시나요?
본인의 그림을 많이 접하고, 평화로움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Q. 작품 활동 외에 취미 활동이 있으신가요?
산책

Q. 작품 활동 외 개인적인 목표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행복한 인생